참여정부가 출범한 2003년 935명이던 정원은 30일 현재 913명으로 22명이 줄었다. 지난 5년간 공무원 6만 5804명(공사 전환 철도청 인력 제외) 증원 혜택에서 철저하게 비켜섰다.
정원은 감소했지만 주 업무인 계약건수는 2003년 2만 3914건(20조 5408억원)에서 지난해 5만 3598건(27조 6348억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단체수의계약 폐지 등 환경이 변하면서 계약관 1인당 계약건수도 2003년 102건에서 지난해에는 229건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조달서비스 향상을 위해 수요기관과 구매 방법 및 규격 등을 협의하는가 하면 가격조사와 적격심사 등 전산화로 대신할 수 없는, 판단이 필요한 영역도 확대됐다.
‘나라장터’ 구축 등으로 전산화·효율화되고 저장품 사업 폐지로 정원이 축소됐지만 총사업비 검토와 원가조사, 품질 및 국유재산 관리 등 새 기능에 대한 증원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나마 5년간 업무가 2배 증가한 총사업비 검토(2007년 2002건)에 지난해 13명 증원이 결정됐다. 하지만 현재 말을 꺼내기조차 힘든 상황이다.
과중한 업무는 결국 조달 공무원의 이직으로 이어졌다. 참여정부에서만 120명에 달했고 이중 81.7%가 실무자인 5∼7급이다. 전자정부 선도기관이라는 명성이 무색할 정도로 조달청의 이직률은 3.8%로 정부대전청사 입주 기관 평균(1%)보다 4배가량 높다. 조달청 관계자는 “조직 변화는 불가피하겠지만 각 부처마다 동일 잣대를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