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직장을 구하려고 했죠. 그런데 이렇게 문이 계속 좁아질 줄 알았다면 퇴사하지 않았을 겁니다. 공무원 시험에 합격하기까지 보통 2∼3년이 걸린다는 데 합격이나 할 수 있을지 앞이 캄캄합니다.”
여성 ‘공시생(공무원 시험 준비생)’들은 올해 ‘두 번’ 울었다. 지난 1월에는 ‘88만원 세대’로 대표되는 청년 비정규직들이 정규직으로 가는 ‘마지막 보루’나 다름없는 공무원 수가 대폭 감축된다고 하더니, 설상가상으로 군가산점제를 부활하는 병역법 개정안이 국회 국방위를 통과했다. 공무원이란 ‘좁은 취업문’에 도전했던 이들은 ‘더 좁아지는 취업문’에 가슴만 쓸어내리고 있다.
9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인 이모(25·여)씨는 “여성 ‘88만원 세대’들이 대규모 인력감축과 군가산점제라는 ‘이중 철벽’을 어떻게 뚫고 나갈지 걱정이다.”면서 “여성이 실력으로 정규직이 되는 길 가운데 가장 공정한 것이 공무원 시험인데 군대에 다녀온 남성들에게만 혜택을 주면 여성들의 피해는 막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에도 이들의 하소연이 넘쳐 난다. 아이디 ‘소리통’은 “1999년 순천시 지방공무원 채용의 합격선이 군가산점제로 100점 만점에 102점이 돼 여성들은 모두 불합격처리 됐었다.”면서 “이런 선례가 또 나오지나 않을지 걱정이 태산이다.”고 말했다.
아이디 ‘SKY’는 “비정규직으로 살다 결혼이나 하란 소리냐.”고 분개했다.
여성계에서도 안타까운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윤덕경 한국여성개발원 평등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군복무에 대한 보상을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생활의 첫 단추인 ‘취업’부터 차별을 받도록 해서는 안된다.”면서 “특히 남녀를 불문하고 가장 선호하는 공공기관 채용과정에 군가산점제를 시행하면 여성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국여성민우회 관계자도 “공공기관 채용 가능 연령도 대부분 남성이 여성보다 2∼3세 높아 군대기간만큼의 연령을 보상해주고 있다.”면서 “여기에 군가산점제까지 시행되면 여성의 공무원 진입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