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경산시에 따르면 최근 국토해양부가 대구지하철 1호선의 경산 하양 연장 사업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사업으로 제출한 사실이 확인됐다.
정부 방침이 확정되면 내년부터 기본설계를 실시해 공사 발주를 위한 인·허가 절차를 거친 뒤 2013년에 착공,2018년에 준공할 계획이다. 공사 구간은 안심역∼청천∼하양역의 총 연장 8.75㎞다. 예상 사업비는 2330억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 지하철1호선 하양 연장은 대구 신서 혁신도시와 경산 무학택지 등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교통난 해소와 대구가톨릭대 등 하양권 4개 대학 학생과 교직원 등의 교통편의를 도모하는 차원에서 비롯됐다. 대구 지하철2호선 경산 연장(대구 수성구 사월역∼경산 영남대 정문 3.35㎞) 사업도 순조롭다.
2012년까지 총 2388억원이 투입돼 완공될 이 사업은 현재 16%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지하철2호선이 경산까지 연장 운행되면 하루 승객 2만 5000명이 혜택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지은 지 올해로 37년이 돼 낡고 협소한 경부선 철도의 경산 역사(1층, 연면적 433㎡)도 새로 지어진다. 코레일 대구지사는 내년부터 2010년까지 80억원을 들여 노인 등을 위한 승강시설 등 각종 철도이용 편익시설을 갖춘 새 경산 역사를 신축할 계획이다. 하루 이용객은 5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환경 기반 시설도 확충된다.2010년까지 400억원을 들여 경산 시가지를 흐르는 남천(경산 백천교∼대구 수성구 매호교 8.3㎞)을 수생 동·식물이 서식하기 좋은 친환경 자연생태하천으로 조성한다.2011년까지 520억원을 들여 용성면 용산리 산 38 일대 부지 10만 4000여㎡에 하루 쓰레기 100t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도 건립할 계획이다. 체육 관련 인프라도 구축된다.
최병국 경산시장은 “경산 발전이 인프라 확충에 달렸다는 확신을 갖고 사업 추진에 역동적인 노력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경산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