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수산사무소, 국내 첫 바다양식 성공
민물에서 자라는 무지개송어의 바다양식이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국립수산과학원 고흥수산사무소는 26일 “바다 해상 가두리에서 자란 무지개송어를 다음달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수산식품전시회에 출품한다.”고 밝혔다.
고흥수산사무소가 송어 양식에 나선 것은 지난해 11월. 겨울철 성장이 거의 멈추는 조피볼락(우럭) 등 남해안 양식 어류 대체 품목을 찾아내 어민 소득원을 개발하기 위해서였다. 수산사무소는 곧바로 육상에서만 양식되는 200g미만짜리 송어 치어 2000여마리를 강원도 평창에서 들여 왔다. 송어가 바다와 민물을 오가는 회유성 어종인 연어목 연어과에 속한 사실에 주목하고 치어 때부터 바닷물 적응 실험에 들어갔다.
염도가 ‘0’인 민물에서 부화해 약간 자란 치어를 바닷물의 평균 염분 농도인 34퍼밀의 3분의 1 수준인 10퍼밀 상태에 방류했다. 이어 10여일 동안 12~20퍼밀 이상으로 매일 염분 농도를 높여나갔다. 폐사율은 5%가량이었다. 염도를 점차 높이는 순치(順治) 과정을 거친 치어는 한달 뒤인 지난해 12월 초 고흥군 도양읍 화도 일대 해상 가두리 양식장으로 옮겨졌다. 예상과 달리 송어는 겨울 바닷물에 잘 적응했다. 200g 안팎짜리가 4개월 만인 지금 출하해도 손색이 없는 1㎏짜리 성어(成魚)로 자랐다. 2∼3개월 후에는 1.5㎏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 출하에 2년가량 걸리는 다른 어종에 비해 경쟁력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9-3-27 0:0: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