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까지 도심~한강 순환형 전용길 88㎞ 추가 조성
서울시가 종로와 태평로 등 도심의 차선을 줄이고 그 자리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든다. 자동차문화가 뒤로 밀리며 ‘자전거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는 셈이다.서울시는 종로 등 주요 간선도로와 경복궁, 남산, 한강을 연결하는 순환형(서클형) 자전거도로 88㎞를 추가로 조성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자전거도로는 지난해 10월 서울시가 발표한 207㎞ 길이의 선(線)형 자전거도로의 연결성과 접근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자전거 전용도로는 기존 도로에서 차로를 없애거나 차선 폭을 줄이는 ‘도로 다이어트’ 방식을 통해 진행될 계획이다. 해당 노선은 ▲한강과 남산, 도심을 연결하는 도심 순환노선(24.1㎞) ▲한강과 중랑천·불광천·홍제천 등 한강 지천을 잇는 외곽순환노선(38.1㎞) ▲도심순환망과 외곽순환망을 잇는 연결노선(26㎞) 등 3개다. 도심 순환노선엔 서울의 대표 거리인 종로를 비롯해 태평로(숭례문~세종로 사거리), 소월길(한남광장~숭례문), 장충단길(장충체육관 사거리~북한남 삼거리), 훈련원로(종로5가~장충체육관 사거리)가 포함돼 도심에서 외곽 어디로든 자전거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도심의 남산과 한강을 연결하는 한남로와 한강진길, 반포로에도 자전거도로가 만들어지고, 도로의 높낮이가 심한 소월길과 반포로·한남로 연결 구간에는 자전거 엘리베이터와 연결 경사로가 새로 설치된다. 또 구기터널 보도에는 자전거·보행자 겸용 도로가 조성되고, 평창터널에는 터널 폭을 3m 늘려 자전거 전용도로가 건설된다. 서울시는 2014년 자전거도로망이 완성되면 자전거의 수송 분담률이 현재 1.2%에서 6%까지 높아지고, 자동차 이용을 대체하는 효과가 연간 1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09-5-15 0:0: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