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급 비교적 고루 분포… 작년 복지부 가장 많아
“7·9급은 최종합격하면 어느 부처로 발령이 날까.”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면 한 번쯤 갖는 의문이다. 고시에 합격한 수험생은 시험성적과 중앙공무원교육원 연수성적 등을 합산해 우수한 순서대로 가고 싶은 부처를 고르면 된다. 선택할 수 있는 부처도 다양한 편이다.
하지만 9급 합격생은 고시 합격생에 비해 선택의 폭이 넓지 않다. 대다수가 노동부로 발령받게 된다.
올해의 경우 9급 일반행정(전국)직은 총 268명이 배치되는데, 이 중 70%가량인 187명이 노동부로 가게 된다. 지난해에도 203명 중 152명(74.8%)이 노동부로 배정됐다.
이는 중앙부처 중 노동부 외에는 9급 공무원을 필요로 하는 곳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중앙부처 본부는 보통 7급부터 근무할 수 있다. 소속기관에 종종 9급 자리가 있기는 하지만 많지 않다. 다만 지청(支廳)을 여럿 거느리고 있는 노동부는 이곳에서 근무할 9급 공무원을 많이 필요로 한다.
7급 합격생은 9급에 비해 발령받을 수 있는 부처가 많다. 거의 매년 대부분 중앙부처에서 자리가 나고, 수도 해마다 달라진다. 지난해의 경우 433명이 총 37개 부처에 배치됐는데, 보건복지가족부(37명)가 가장 많았다. 2007년에는 해양수산부(25명)에 가장 많이 배정됐다.
합격자들의 부처배치는 행정안전부가 특정 날짜(올해 9급은 10월14~16일)를 정해 그해 및 이전 공채에서 합격한 수험생을 한 자리에 불러 진행한다. 성적순대로 부처별 배정인원 내에서 희망하는 곳을 선택하면 된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09-10-15 12:0: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