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는 세종시에 대기업이 유치되면 시장연계 가능성이 커지는 등 대덕특구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대덕특구의 비즈니스나 생산기능이 초기단계에 불과해 세종시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가 오송.오창과 연결되는 대규모 혁신클러스터로 연결되면 대덕특구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대덕특구 1, 2단계 산업용지 공급을 추진하는 대전시는 50% 이상 저렴한 가격의 산업용지가 세종시에 공급되고 각종 세제혜택을 주면 용지 공급계획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했다.
따라서 이번 세종시 계획에 따라 대전시의 산업용지 공급이나 대덕특구 조성계획 일부에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또 이번 세종시 수정안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를 세종시에 두고 인근 대덕과 오송.오창을 기능지구로 연계한다고 하고 있으나 어떻게 연계시켜 시너지를 창출할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아 기관이전이나 고급인력의 유출 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는 분위기가 높았다.
충북에서도 세종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개발계획이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나 오창과학산업단지 등의 계획과 겹치면서 기능 중복 등을 우려했다.
수정안에서 세종시를 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지정해 외국인 전용 학교, 병원 설립 등 살기 좋은 정주환경을 조성하고 글로벌 투자단지를 조성하기로 하자 이는 인접한 충북도의 바이오메티컬시티로 만든다는 오송 역세권 발전 구상 등과 중복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충북도는 이에 따라 오송.오창과 청주공항을 아우르는 경제자유구역을 서둘러 2020년까지 개발되는 세종시보다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승우 충북도 정책기획관은 “머지않아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세종시에도 비슷한 기능의 시설이 들어선다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경제자유구역 조기 지정 등을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