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함께 상담 수험생 급증 “합격만 한다면” 과감한 투자도
“올해는 부모님과 함께 오는 상담생이 늘었습니다.”매년 2월이 되면 서울 신림동 고시촌은 사법시험에 새로 뛰어든 수험생으로 북적인다. 이들은 고시학원 상담 전문가를 찾아 1년 뒤 치러질 1차 시험에 합격할 ‘비법’을 전해 듣는다.
베리타스 법학원은 올해의 경우 부모님과 함께 상담을 하러 오는 수험생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도입 3년째인 올해는 사법시험 선발인원이 800명으로 감소하는 등 합격이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특히 자녀가 아직 대학에 입학하지 않았는데, 벌써부터 사법시험 상담을 하는 부모가 많다. 오는 2017년 사법시험이 폐지되는 만큼 그 전에 자녀를 합격시키겠다는 생각이다.
정하영 베리타스 법학원 부원장은 “이들 부모는 자녀보다 사법시험에 대한 정보가 훨씬 많고 학원 프로그램도 빨리 이해한다.”며 “자녀의 직업을 결정하고 인생을 ‘디자인’하는 데 매우 적극적이다.”라고 말했다.
부모가 상담을 하는 주체가 되다 보니 고시학원가의 분위기도 변했다. 과거 수험생은 강사와 ‘사제 관계’를 맺고 끈끈한 인연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투자한 만큼 성과(합격)를 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또 장기간 학원에 다니는 것보다는 짧은 시간에 집중적인 강의를 듣기를 원하고 수강료가 비싸더라도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면 과감히 투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부모에 의존 정신력 약화 우려
베리타스 법학원 등 일부 학원은 올해부터 수강료가 기존 강의보다 4~5배가량 비싸지만 높은 합격률을 보장하는 ‘사법시험 준비반’을 개설했는데 예상보다 호응이 좋다.
수험생인 자녀보다 부모가 먼저 프로그램에 대한 소식을 듣고 2~3명씩 무리지어 단체 상담 신청을 하고 있다. 이들은 학원이 구체적으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수강생을 얼마나 많이 합격시킬 수 있는지 꼼꼼히 캐묻는다.
학원 측은 부모가 자녀의 합격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는 것은 긍정적인 현상이라는 반응이다.
하지만 ‘힘들고 외로운’ 생활을 해야 하는 수험생이 부모에게 너무 의존해 자칫 정신력이 약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정 부원장은 “자녀의 대학입학에 열성적인 부모들이 최근에는 졸업 이후 취업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며 “그러나 수험생은 ‘인생의 주인은 나’라는 생각을 갖고 스스로 진로를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0-02-1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