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상당수 현 명칭 그대로 사용
7월1일 통합창원시 출범에 따라 마산시와 진해시가 자치단체의 간판을 내리지만 그 이름은 공공기관 명칭에서 일부 남아 명맥을 이어간다.30일 지역 공공기관들에 따르면 통합시가 출범하더라도 명칭을 바꿀 계획이 없거나 바꾸는데 시간이 걸리는 기관이 꽤 된다.
1970년 국내최초의 외국인전용 공단으로 출발한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은 ‘창원자유무역지역관리원’으로 명칭을 바꿀 계획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마산자유무역지역’이라는 명칭이 해외에 널리 알려진 고유명사여서 이름을 바꾸면 세계 수출시장에서 인지도가 없어진다는 이유다.
마산지방해양항만청도 상급기관인 국토해양부에서 별다른 지시가 없는데다 ‘마산항’이라는 명칭이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현재 이름을 그대로 쓰는 것으로 결론내렸다.
마산소방서와 마산세관 역시 명칭을 그대로 유지할 예정이다.
마산상공회의소는 통합시출범 후 1년이라는 유예기간이 있어 올 하반기에나 태스크포스 등을 구성해 창원.진해상의와의 통합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립전문대인 마산대학은 창원시에 ‘창원전문대’가 있는데다 학교 이름이 이미 알려져 있어 바꾸지 않기로 했다.
경찰서 명칭은 대통령령으로 규정된 만큼 바꾸려면 법적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 ‘마산중부경찰서’와 ‘마산동부경찰서’ 이름이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반면,통합시 출범과 함께 7월1일부터 명칭을 바로 바꾸는 곳도 있다.
마산시에 청사를 두고 경남 9개 시·군을 담당하는 마산보훈지청은 7월1일부터 ‘창원보훈지청’으로 간판을 바꾼다.
올해 창사 41년을 맞는 마산MBC도 7월1일에 맞춰 ‘창원MBC’로 사명을 바꾸고 ‘제2창사’에 나선다.
진해시는 시청과 경찰서를 제외한 시(市)단위 이상의 공공기관이 없다시피 해 변경 대상이 거의 없다.
군항도시 진해시의 터줏대감인 해군부대 가운데 지명이 들어가는 진해기지사령부는 해군본부 차원에서 검토된 적도,지시가 내려온 적이 없어 일단 그 명칭을 유지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