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1년도 채 되지 않아 험한 꼴을 당하고 있다. 송영길 인천시장 인수위는 “1400억원이 투입된 도시축전은 정치적 목적에 의한 낭비성 행사”라는 결론을 내고 감사원에 특별감사를 요청했다.
지난달 감사원이 발표한 ‘지자체 축제·행사 집행실태’에 대한 감사 결과, 인천시는 최근 3년간 축제 등 전시성 행사에 1916억원을 써 서울을 제외한 6대 광역시 중 가장 많은 예산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사 개최 횟수로는 부산시가 1171건으로 최다를 기록했다. 서울시 역시 민선5기를 이끌 민주당 소속 구청장 21명이 오세훈 시장의 역점사업인 한강르네상스, 디자인시티 등을 전시행정으로 규정하고 전면중단을 요구함으로써 논란을 비껴가지 못하고 있다.
전시행정과 거의 동의어처럼 여겨지는 것은 국제행사 유치다. 단체장의 실적을 쌓고 다음 선거를 준비하는 데 이만큼 효용성 있는 이벤트가 드물기 때문이다.
2014년 세계사격선수권대회, 2017년 동아시아경기대회, 2018년 겨울올림픽, 2020년 여름올림픽, 2022년 월드컵 유치가 전국 지자체들에 의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국제회의, 영화제, 엑스포, 비엔날레까지 더하면 국제행사 추진은 정확한 통계조차 잡을 수 없을 정도다.
하지만 지자체들이 젯밥에만 눈이 어두워 면밀한 검증도 없이 ‘되면 좋고 아니면 말고’식으로 국제행사 유치에 나서면 순기능보다는 재정낭비 등 부작용 우려가 높다.
육동일 충남대 교수는 “국제행사 유치 대열에 끼지 못하면 ‘팔불출’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경제적 효과와 유치 가능성 등을 정밀하게 종합분석해 국제행사 유치 우선순위와 시기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0-07-0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