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만에 중도하차… 공모 왜 했나
“5개월 만에 중도하차시킬 것이라면 개방형 공모는 왜 했나?”최근 2년 임기의 공모직위인 정부대전청사관리소장이 5개월도 안 돼 중도하차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 스스로 개방형 직위의 도입 취지를 훼손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하지만 이 같은 사실을 후임자 공모가 이뤄진 다음에야 전해 들은 공무원들은 “어이가 없다.”는 반응이다. 겨우 업무를 파악한 상태에서 소장이 갑자기 바뀌기 때문이다. 정부청사의 에너지 절감이 화두인 가운데 에너지·산업분야 전문가의 입성에 따른 직원들의 기대감도 물거품이 됐다.
게다가 정부청사관리소장은 개방형 공모직위이다. 임기는 2년으로 연장도 가능하다.
대전청사 한 관계자는 “당초 (지경부는) 53년생 명퇴가 예견됐다면 N 소장은 임명하지 않는 게 순리였다.”면서 “소장이 바뀌면서 업무 공백뿐 아니라 또다시 현황 보고 준비를 해야 하는 등 불편도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특정 직위에 대해 내·외부 공무원 간 상호경쟁을 통해 최적격자를 선발·임용’하는 개방형 직위 도입의 당초 취지와 달리 상급부서의 인사적체 해소책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이번 사례는 본인이 명퇴를 신청해 어쩔 수 없는 특별한 케이스”라며 “부처 간 인사교류 방식에 따라 후임자도 지경부에서 임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0-08-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