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부패를 경험했다는 응답자는 이보다 적었다. 일반 국민의 2.7%, 외국인의 5.0%가 업무와 관련해 공무원에게 금품·접대·선물 등을 제공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기업인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11.1%로 높은 편이었다. 이는 지난해(14.7%)보다 떨어진 수치이기는 하지만, 아직 기업에서는 공무원에게 부정한 금품 등을 주는 관행이 여전하다는 점을 보여 주는 것이다.
사회분야별 부패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일반 국민(58.8%)·공무원(71.8%)·기업인(60.9%) 모두 정당 및 입법 분야의 부패문제 해결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일반 국민들은 사법분야(29.1%), 행정기관(28.1%), 공기업(24.5%) 등을 다음으로 꼽았다.
공직사회의 부패 수준에 대해서는 공무원과 국민 사이에 큰 인식차가 있었다. 공무원 가운데 공무원이 부패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2.4%에 그친 반면, 일반 국민의 54.1%와 기업인의 40.9%가 공무원이 부패하다고 답했다. 특히 공무원 부패에 대한 기업인의 인식은 지난해(32.3%)보다 악화됐다.
공직사회의 행정기능을 분야별로 봤을 때는 일반 국민의 72.1%, 기업인의 63.4%가 ‘건축·건설·주택·토지’ 분야가 가장 부패하다고 응답했다.
권익위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민·관 협력을 통한 효과적인 반부패 거버넌스 구축 등을 위한 세부추진계획 수립과 반부패 국제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지혜기자 wisepen@seoul.co.kr
2010-12-1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