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위에서 먹고 일하고 놀고 자고… 1000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20년 뭉갠 부산롯데타워, 또 지연되나… 지역사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휠체어 끌어도, 무릎 아파도… 누구나 즐거운 ‘2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알뜰교통카드 쓰던 경기도민 59% ‘경기패스’ 전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고래 수 1만 6000마리로 늘어 관경산업 발전 가능성 무한”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문대연 고래연구소장 ‘고래관광업 미래’를 말하다

지난 14일 정오쯤 울산 울기등대 동쪽 9.7㎞ 해상에서 1400여 마리의 돌고래 떼가 출현했다. 울산 앞바다에서는 2007년 3월 ‘목시(目視·눈으로 관찰)조사’를 시작한 이후 첫해 27%에서 지난해 50%까지 발견율이 높아졌다. 이 때문에 요즘 주말이면 수천명의 관광객들이 남구 장생포항을 찾는다. 이에 힘입어 바다에서 고래 떼를 관찰하는 ‘관경산업’도 인기다. 20일 울산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에서 문대연(51) 소장을 만나 고래관광에 대한 견해를 들어봤다.




●포경 금지 이후로 증가 추세

→상업포경 금지 이후 우리 수역에서 고래가 늘었나.

-우리나라 상업포경은 1946년부터 40여년간 성행했다. 국제포경위원회(IWC)가 1986년 상업포경을 금지한 이후 고래자원이 많이 불어났다. 밍크고래는 포경이 성행하던 1980년대 수천 마리에 불과했으나 최근 1만 6000여 마리로 늘었다.

→우리 수역에서 발견되는 고래 종류는.

-한반도 수역을 회유한 고래는 총 35종 정도이고, 최근 20여종이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있다. 밍크고래, 참고래, 혹등고래, 브라이드고래, 참돌고래, 낫돌고래, 상괭이, 큰돌고래, 쇠돌고래 등이다.

→울산 남구 장생포항으로 관광객이 몰리는 이유는.

-울산은 반구대암각화 유적에서 드러나듯 예로부터 ‘고래 마을’로 유명했다. 남구가 국내 첫 고래박물관과 고래생태체험관을 개관한 데 이어 고래바다여행선도 운항하고 있다. 특히 장생포는 고래의 역사와 문화, 포경을 한눈에 배울 수 있고, 살아 숨쉬는 고래의 호흡을 가까이에서 들을 수 있다.

→관경산업의 미래는.

-현재는 초기 단계이지만, 새로운 관광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장기 계획을 세워 수요자 중심의 테마를 개발하면 이 산업은 무한히 발전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고래바다여행선을 경주, 포항 등 경북 동해안까지 운항한다. 발견율을 높일 수 있을지.

-울산과 포항 부근 해역에서 고래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포항까지 운항하면 발견율이 높아질 것이다. 다만 회유성 포유류인 고래는 일정한 지역에 머물지 않고 먹이를 따라 이동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박물관·체험관·여행선 운영

→토종 귀신고래 탐사에 나선 이유는.

-1912년 미국 박물학자인 앤드루스가 우리 수역의 귀신고래를 연구해 귀신고래에게 ‘한국계’라는 명칭을 붙일 만큼 인연이 깊다. 현재 러시아 사할린 수역에 한국계 귀신고래 100여 마리가 서식해 동해로의 회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가끔 귀신고래를 봤다는 어민들도 있다.

→고래를 잡아 길들이는 순치장도 추진하고 있는데.

-남구가 최근 세계의 고래관광 추세에 맞춰 고래 터치풀(순치장)을 계획하고 있다. 올해 개정된 고래 관련 고시에 따라 농림수산식품부의 승인을 받으면 연구·교육·공연·전시 목적의 포획이 가능해져 풍부한 돌고래 자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가 고래 이동에 영향을 미쳤는지.

-자연현상에 민감한 고래는 태풍 등이 발생하면 이동한다. 이번 지진 등으로 동일본 수역의 고래들이 한반도가 아니라 동 태평양 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한적인 포경 허용 요구가 있다. 언제 결정되나.



-우리나라에는 포경의 역사와 함께 고래고기 음식문화가 있다. 밍크고래는 과거에 비해 개체수가 증가해 정부에서 이용(포획)을 검토하고 있다. IWC가 2013년쯤 밍크고래에 대한 ‘개정관리제도’(RMP)를 완성해 포획 쿼터를 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

글 사진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1-04-21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