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우리銀 서민대출 출시…금리 年3% 금융권 최저 수준
서울시가 우리은행과 손잡고 내년부터 창업을 준비하는 저소득층 시민에게 파격적인 이자로 돈을 빌려 준다. 정부가 관여하는 창업 서민대출인 미소금융에 정면으로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특히 금융회사의 기부를 받는 무담보 소액대출(마이크로크레디트)의 원안자이면서도 미소금융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배제됐던 박원순 서울시장의 ‘반격’으로 해석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하나희망’ 1년만에 중단된 적 있어
16일 서울시와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시는 내년 1월부터 저소득층, 영세 자영업자 등을 상대로 ‘창업마이크로크레디트’ 사업을 시작한다. 창업 자금을 담보 없이 최대 3000만원까지 빌려 주는데 금리가 연 3%로 금융권 최저 수준이다. 서울시의 금고를 관리하는 우리은행이 대출 재원으로 100억원을 지원하고 서울신용보증재단이 보증을 선다.
대출신청자 선정 및 사후관리 등은 사회연대은행, 신나는조합처럼 마이크로크레디트를 운영해 본 민간 위탁업체에 맡길 계획이다. 서울시 창업소상공인과 관계자는 “우선 100억원을 300여명에게 빌려 주는 것을 시작으로 지원 규모를 단계적으로 늘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는 이번 사업을 박 시장의 ‘반격’ 내지는 ‘복수’로 보는 시각이 있다. 박 시장은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시절인 2008년 하나은행과 함께 하나희망재단(지금의 하나미소금융재단)을 만들어 서민들을 대상으로 소액 창업 대출을 시작했다. 하나은행이 100억원을 내놓고 희망제작소가 운영을 맡는 협력 사업이었다. 하지만 1년도 못 가서 사업은 갑자기 무산됐다. 이와 관련해 박 시장은 2009년 9월 기자회견에서 국정원 등의 입김이 작용한 탓이라고 정부를 비난했다.
●“저소득층 성공 안착 도울 것”
이후 박 시장의 아이디어에 착안해 정부 주도로 기업의 기부를 받아 서민 창업 희망자에게 최대 5000만원을 연 4.5%의 이자로 대출해 주는 미소금융사업이 추진됐다. 박 시장은 그동안 미소금융에 대해 “국가가 관리를 주도하기 때문에 비영리단체의 상상력이나 열정이 반영되지 않았고 사후 관리가 제대로 안 되고 있다.”며 여러 차례 비판했다.
서울시는 창업마이크로크레디트를 민간단체에 위탁해 사후 컨설팅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저소득층의 성공적인 안착을 돕겠다는 입장이다. 미소금융보다 금리가 1.5% 포인트 낮은 점도 매력으로 꼽힐 것이라고 보고 있다.
미소금융중앙재단 측은 “지방자치단체의 소규모 사업을 전국 단위의 미소금융과 나란히 비교할 수 없다.”며 견제하면서도 ‘박원순식’ 서민금융의 효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11-1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