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철도청이 공기업인 코레일로 전환된 후 최고경영자는 초대 신광순 사장을 제외하고 정치권에서 임명됐다. 코레일 임직원들은 원론적으로 “힘 있는 사장”을 주문하고 있다. 철도 비전문가,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에도 조직 전체로는 성과가 있었음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각론에선 인식 차를 드러낸다.
정치권 인사에 대한 선호는 철도 여건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복수화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한편에선 철도를 아는 국토해양부 인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의견도 나온다. 현장에서 실상을 경험하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란 기대를 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토부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철도라인이 철도구조조정을 담당했던 인사들로 배치되면서 긴장도를 높이고 있다. 공모가 시작되지 않았지만 국토부 인사들이 사장 후보로 거론되는 점도 예전과 다른 현상이다. 김희국 2차관과 이재붕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상임위원 등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하다. 코레일은 직급대표회의를 거쳐 임원추천위원회를 꾸린 뒤 사장 공모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편 허 사장은 이임에 앞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고속철도 수출시대에 대비해 많은 정책과 법률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면서 “국회에 가서 철도에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1-12-2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