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서남권 일대에 염분 미세척 상태로 공급
전남 목포, 무안, 해남 등 서남권 건축 현장에 들어가는 바닷모래 대부분이 세척이 제대로 안 된 상태로 유통돼 건축물 수명 단축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31일 목포해경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배타적 경제수역(EEZ)과 태안 등지에서 채취한 바닷모래가 목포 용당부두 등을 통해 전남 일원에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바닷모래의 염기를 제거하지 않은 채 레미콘 공장이나 건축 현장으로 실려나가고 있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평균 1%에 이르는 바닷모래의 염분 농도는 건축에 사용할 수 있는 기준치인 0.04% 이하로 떨어뜨려야 한다. 공업용수 등을 이용해 세척 작업을 해야 하지만 형식적이거나 아예 하지 않고 있다.
일부 골재 판매상은 부근 야적장에 15~30일간 쌓아놓고 비를 맞히는 것이 고작이다. 물량이 달릴 때는 곧바로 레미콘 공장으로 직송돼 불량 레미콘이 양산될 가능성도 크다. 대부분의 골재 판매상들이 세척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있거나 염기 제거 시늉만 하고 있는 것이다. 공사 현장에서도 바닷모래에 염기가 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검사하지 않고 무차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염분이 많은 바닷모래가 공사장이나 레미콘 회사에 직송돼 사용되면 물이 미세하게 스며드는 백화현상이 발생하고, 철근 부식이 빨라져 건물의 수명이 짧아지는 등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무안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