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대 이전협약 ·인수위 방문…車산업 육성 ‘시동’ 걸었다
광주시가 5년 안에 자동차 ‘100만대 생산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을까. 시가 현재 연 50만대에서 ‘100만대 생산체제’ 구축에 ‘올인’하면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렇게 되면 ‘광주 경제의 틀’이 근본적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또 울산에 이어 제2의 자동차 생산도시로 급부상한다. 18대 대선 과정에서 여야 정치권 모두가 이를 첫 번째 지역공약으로 내걸었던 만큼 실현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특히 기아차 광주공장이 올 초까지 라인 증설을 통해 연간 62만대 생산체제를 구축했다. 노사 합의만 이뤄지면 당장에라도 이를 뽑아낼 수 있다.광주시가 지역경제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자동차 100만대 생산체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올해 초 연간 62만대로 생산 규모를 늘려 시의 목표를 이룰 밑바탕을 제공한 기아차 광주공장에서 근로자들이 차를 조립하고 있다. 기아차 제공 |
실제로 기아차 광주공장은 연간 44만~48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해 지역경제와 수출을 주도한다. 지난해 광주지역 총 수출액은 141억 달러다. 이 가운데 자동차가 49억 80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연간 매출액은 8조~8조 5000억원 규모로 지역 총생산의 30%를 웃돈다. 100만대 생산기지가 구축되면 자동차 관련 매출액이 현재보다 2배 많은 16조원대로 급상승한다. 2만여명의 신규 일자리도 생긴다.
또 240여개의 수도권 협력업체 이전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자동차 100만대 증산에 따른 유무형의 파급 효과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차 광주공장이 올부터 기존보다 10만여대가 늘어난 62만대 생산체제를 구축하면서 나타나는 파급효과만 봐도 밑그림을 추정할 수 있다.
최근 협력업체의 ‘광주 이전’이 활발하다. 시에 따르면 국내 최대 자동차부품 회사인 현대모비스㈜가 진곡산단에 공장을 착공한 데 이어 ㈜지알켐, 내장재 생산업체인 ㈜ 하이본과 부품협력사인 ㈜화성알텍, 지엔씨(유), ㈜일정 등의 협력업체들이 잇따라 둥지를 틀고 있다.
100만대 생산 목표 달성은 이미 시작됐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현재 쏘울, 스포티지R, 봉고트럭, 카렌스, 버스와 군용 장비 등을 생산한다. 주로 수출용이다. 기아차는 지난해 시간당 생산대수(UPH)를 42대에서 올 66대로 높이는 등 연간 62만대 생산체제를 갖췄다. 나머지 38만대를 위해 광주시는 부지(공단) 마련과 민자 유치, 정부지원 등을 통해 생산단지 조성을 최대한 앞당긴다는 구상이다. 우선 광산구 평동 포사격장과 동백훈련장 이전을 위해 군 당국과 이미 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포사격장 부지 240여만㎡와 사유지 등 모두 300여만㎡에 자동차 전용 산단을 조성한다. 모두 1조 3000여억원이 투입된다. 그러나 박 당선인이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막대한 투자비를 시가 감당하기란 불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자동차 업계 성장률이 연간 2~3%대로 추정되는 만큼이 사업이 일사천리로 진행되기는 어렵지만 첫 삽을 뜨는 것도 의미가 크다”며 “차기 정부가 대선 공약을 지키도록 압박 강도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3-02-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