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임신·출산 소상공인 17일부터 휴업 보상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감염병·의정갈등·연금개혁까지… ‘고된 일터’ 복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규제철폐 나선 종로구 “건축 인허가 처리 기간 단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마포, 4월부터 킥보드 없는 ‘레드로드’ 본격 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이슈&이슈] 광주, 5년내 자동차 100만대 생산도시 될까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군부대 이전협약 ·인수위 방문…車산업 육성 ‘시동’ 걸었다

광주시가 5년 안에 자동차 ‘100만대 생산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을까. 시가 현재 연 50만대에서 ‘100만대 생산체제’ 구축에 ‘올인’하면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렇게 되면 ‘광주 경제의 틀’이 근본적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또 울산에 이어 제2의 자동차 생산도시로 급부상한다. 18대 대선 과정에서 여야 정치권 모두가 이를 첫 번째 지역공약으로 내걸었던 만큼 실현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특히 기아차 광주공장이 올 초까지 라인 증설을 통해 연간 62만대 생산체제를 구축했다. 노사 합의만 이뤄지면 당장에라도 이를 뽑아낼 수 있다.


광주시가 지역경제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자동차 100만대 생산체제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올해 초 연간 62만대로 생산 규모를 늘려 시의 목표를 이룰 밑바탕을 제공한 기아차 광주공장에서 근로자들이 차를 조립하고 있다.
기아차 제공
나머지 40여만대는 새로 조성되는 자동차 전용 공단에서 만들어진다. 시는 새 전용 공단에 하이브리드, 클린 디젤,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등 ‘그린 카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최근 새누리당 박근혜 당선인도 이 같은 내용의 대선 공약을 내건 만큼 광주가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한껏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강운태 시장은 지난달 16일 광역자치단체장 가운데 처음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를 전격 방문했다. 그는 인수위원들을 만나 박근혜 당선인의 자동차 100만대 생산도시 조성 공약을 새 정부 정책에 반영해줄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 국민 대통합과 지역균형발전론을 제시하며 차기 정부를 압박하고 나선 것이다. 광주의 미래와 직결된 핵심 전략이란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기아차 광주공장은 연간 44만~48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해 지역경제와 수출을 주도한다. 지난해 광주지역 총 수출액은 141억 달러다. 이 가운데 자동차가 49억 80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연간 매출액은 8조~8조 5000억원 규모로 지역 총생산의 30%를 웃돈다. 100만대 생산기지가 구축되면 자동차 관련 매출액이 현재보다 2배 많은 16조원대로 급상승한다. 2만여명의 신규 일자리도 생긴다.

또 240여개의 수도권 협력업체 이전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자동차 100만대 증산에 따른 유무형의 파급 효과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차 광주공장이 올부터 기존보다 10만여대가 늘어난 62만대 생산체제를 구축하면서 나타나는 파급효과만 봐도 밑그림을 추정할 수 있다.

최근 협력업체의 ‘광주 이전’이 활발하다. 시에 따르면 국내 최대 자동차부품 회사인 현대모비스㈜가 진곡산단에 공장을 착공한 데 이어 ㈜지알켐, 내장재 생산업체인 ㈜ 하이본과 부품협력사인 ㈜화성알텍, 지엔씨(유), ㈜일정 등의 협력업체들이 잇따라 둥지를 틀고 있다.

100만대 생산 목표 달성은 이미 시작됐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현재 쏘울, 스포티지R, 봉고트럭, 카렌스, 버스와 군용 장비 등을 생산한다. 주로 수출용이다. 기아차는 지난해 시간당 생산대수(UPH)를 42대에서 올 66대로 높이는 등 연간 62만대 생산체제를 갖췄다. 나머지 38만대를 위해 광주시는 부지(공단) 마련과 민자 유치, 정부지원 등을 통해 생산단지 조성을 최대한 앞당긴다는 구상이다. 우선 광산구 평동 포사격장과 동백훈련장 이전을 위해 군 당국과 이미 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포사격장 부지 240여만㎡와 사유지 등 모두 300여만㎡에 자동차 전용 산단을 조성한다. 모두 1조 3000여억원이 투입된다. 그러나 박 당선인이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막대한 투자비를 시가 감당하기란 불가능하다.

시 관계자는 “자동차 업계 성장률이 연간 2~3%대로 추정되는 만큼이 사업이 일사천리로 진행되기는 어렵지만 첫 삽을 뜨는 것도 의미가 크다”며 “차기 정부가 대선 공약을 지키도록 압박 강도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3-02-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