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는 ‘문화관광자원 활성화 방안’. 지리산을 감싸고 있는 세 기초단체는 자연환경, 전통, 문화, 민속 등을 엇비슷하게 공유하고 있다는 점이 계기가 됐다.
일찌감치 현지 의견 수렴을 통해 함께할 수 있는 기초단체, 같이 논의할 공동 현안에 대해 사전 조사를 거쳤고 자연스럽게 의견이 모아졌다. 오는 9월 산청에서 열리는 전통의약엑스포가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했다. 엑스포를 찾는 관광객이 산청에만 들르고 가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하동, 함양까지 찾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하동은 전통마을, 함양은 대가야 문화 등 각각 특색 있는 대표적 관광자원을 확보하고 있을 뿐 아니라, 선비문화, 템플스테이, 지리산 숲길 등 공통의 관광 자원을 갖고 있다.
강사로 참여한 최승담 한양대 교수는 “관광 체계의 복합성으로 인해 ‘나홀로 문화관광’은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면서 “공동의 관광자원 개발은 지역의 특수성과 더불어 광역적 공동의 이해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최 교수를 비롯 고계성 경남대 교수, 황선영 우석대 교수 등이 이 지역이 공유하는 문화관광 자원이 어떤 것인지 연구하고, 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문화관광 자원의 스토리텔링 전략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종훈 지방행정연수원 기획부장은 “이웃 지자체와 연대하고 협력할 수 있는 공통의 근거를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특히 세 기초단체는 공통의 역사 문화자원이 풍부한 지역인 만큼 함께 모여 공동 현안에 대해 고민하고 공동 발전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자리”라고 말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3-07-0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