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피해 15곳 가두리 설치
포획시스템은 노루가 채소 등 유인용 먹잇감을 찾아 그물로 된 유도펜스를 따라 가두리로 들어오면 감지센서와 적외선 카메라가 이를 감지해 자동으로 문을 닫아 가두는 방식이다. 이동이 가능한 유도펜스는 길이 500m, 높이 2m이며 5m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청에 설치된 시스템 통제실에서는 해당 가두리에 들어오는 노루의 상태와 개체 수를 실시간으로 확인,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도는 다음 달 말까지 농작물 피해가 잦은 지역과 오름, 곶자왈 주변 등을 중심으로 모두 15곳에 포획시스템을 설치, 오는 12월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에 생포되는 노루는 제주절물휴양림 인근에 있는 노루생태공원으로 옮겨 사육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농작물 훼손을 막기 위해 밤새 폭음기를 터트리며 밤잠을 설치던 농민들의 시름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며 “포획한 노루를 생태공원으로 이주시켜 관광 생태자원으로도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개체 수 급증으로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줬던 노루는 지난 1일부터 시행된 ‘제주특별자치도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조례’에 따라 향후 3년간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 사전 허가를 받으면 포획이 가능하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3-07-2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