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트립어드바이저 ‘나홀로 여행하기 좋은 도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계절마다 바뀌는 서울꿈새김판…“막힘없이 나아가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진구 자양1재정비촉진구역 준공 인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골목형 상점가에 온누리상품권 허용… ‘불황속 단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문사철에 과학 융합… TED식 강의도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중공교 신임 사무관 교육 현장 가보니

“트리즈에 대해 들어 보신 분 계신가요. 러시아 학자 겐리흐 알트슐레르 박사가 30만건 이상의 특허를 분석해 원리를 찾은 것이 바로 트리즈입니다.”

지난달 31일 중앙공무원교육원(중공교) 5급 신임 사무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과학 강의의 한 장면이다. 교육생들 자리에서는 각종 인문학 서적도 눈에 띄었다. 이번에 새롭게 ‘인문학·과학기술 융합 교육’을 운영하며 생긴 풍경이다.

중공교는 오는 16일까지 운영하는 3주짜리 교육 프로그램 전체를 과학과 인문학으로 채웠다. 신임 사무관 교육을 공직가치와 직무역량, 관리자역량 등을 중심으로 꾸민 이전 모습과 사뭇 다르다. 이전까지는 인문학이나 과학 강의 등을 한두 시간 특강 형식으로 포함한 적은 있었지만 이처럼 체계적으로 운영한 것은 처음이다. “기존 교육을 넘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교육의 목표”라는 게 중공교 관계자의 설명이다.

새 교육 프로그램은 인문학과 과학기술 강의, 개인별·팀별 연구, 연구 발표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인문학 강의는 이른바 ‘문학·역사·철학’(문·사·철) 교육을 주제로 ▲톨스토이의 삶과 문학 및 러시아 문학 ▲사기열전으로 본 혁신전략과 리더십 등에 대한 강의가 주를 이룬다.

과학 분야는 ▲과학기술과 국가발전론 ▲실용 트리즈와 적용사례 ▲인터넷·미디어의 변화를 통한 창의적 혁신 등을 주제로 했다. 서울대 생명공학공동연구원장 출신으로 다수의 과학 대중서 저자이기도 한 유영제 원장의 ‘색깔’이 묻어나는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게 중공교 안팎의 설명이다.

중공교 관계자는 “유 원장이 직원 워크숍 등에서 이른바 ‘문·사·철’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면서 “인문학 소양을 배양하기 위한 여러 자문을 듣고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교육생들에게 추천한 책은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리나’, 레비스트로스의 ‘슬픈열대’ 등 인문학 권장 도서 30권이다. 이 중 각자가 책을 선정해 독서토론을 진행한다. 과학, 문화, 디자인 등에 대해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테드’(TED)의 형식을 빌려 다른 교육생들 앞에서 강연하는 시간이 마련된 점도 이채롭다. 팀별로 15분간 자신들의 결과물을 소개한다.

김현철 중공교 교수부장은 “학문의 기초가 되는 인문학과 과학 강의를 통해 교육생들이 문제의식과 비판정신, 합리적 사고 등을 기르고자 한다”고 새 프로그램의 의미를 설명했다. 중공교는 이번 과정의 반응과 성과 등을 검토해 교육을 정례화할 방침이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3-08-0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