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도시건설청 보고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의 용역보고서 ‘정부세종청사 장래 주차 수요 분석을 위한 연구’에 따르면 2단계 입주가 완료되는 내년에는 주차장이 6900면(1면=자동차 1대를 세우는 공간)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2020년에는 7600면이 있어야 하고 이주가 안정되는 2030년에도 6200면이 필요하다. 차량 5부제에다 주차장 유료화까지 해도 내년 4700면, 2020년 5200면, 2030년 4200면이 필요하다. 현재 세종청사의 주차장은 3007면으로 당초 계획(1466면)의 2배 이상이지만 최소한 3000면 정도를 더 만들어야 하는 셈이다.
정부의 예상과 달리 차량 운행이 많은 이유는 정부의 수요 예측 실패 때문이다. 정부는 2008년 4월 세종청사를 관공서와 같은 업무시설로 보고 건물 연면적 100㎡당 주차장 1면을 마련키로 했지만 2009년 1월 녹색도시 콘셉트를 고려해 200㎡당 1대로 변경했다.
세종청사 주변에 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하지만 통근족은 여전히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5명 중 1명 이상이 승용차를 이용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1만 1331명에게 설문한 결과 2243명(19.8%)은 2017년 이후에도 이주하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이주를 한다고 응답한 9088명 중 출퇴근 수단을 묻는 질문에 2505명(27.6%)이 승용차를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세종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3-12-2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