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인가 학교 61곳 급식비 등 혜택
서울시가 대안교육기관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는 등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정책 및 재정지원에 팔을 걷는다.
|
시는 먼저 교육청과 서울중앙지검 등과 협약을 맺고 학교 밖 청소년 조기 발굴에 힘쓰고 비인가 대안교육기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현재 38곳인 지원 기관을 2018년까지 61곳으로 늘린다. 이들 기관에는 교육활동공간과 교육프로그램, 인건비, 급식비, 교사연수, 컨설팅 등이 지원된다. 시 관계자는 “일단 이들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게 하기 위해선 비인가 대안교육기관에 대한 지원이 급하다고 판단했다”면서 “복권기금과 마사회기금 등을 활용해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 산하 기관과 연계해 자립, 학업, 성, 주거 등에 대한 상담·지원도 진행한다. 이를 위해 학교로부터 학업 중단을 고민하는 학생의 정보를 받아 고민 상담에서 진로 탐색까지 다양한 지원을 한다. 시 관계자는 “단순하게 문제 청소년으로 학생들을 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상담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방황하는 청소년들을 선도하기 위해 서울지방경찰청, 서울중앙지검 등과 협력해 청소년 범죄 예방 활동도 함께 진행한다. 상대적으로 범죄 등에 노출 가능성이 큰 학교 밖 학생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겠다는 의미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