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 공모… 9일까지
새 대변인은 고위공무원단 나급, 소방감 또는 치안감 대우를 받는다. 연봉 5900여만~1억여원에 식비, 직급보조비, 가족수당 등은 따로 지급된다. 임기는 일반인 3년, 공무원 2년이다. 근무 실적이 우수하면 총 5년의 범위 내에서 연장할 수 있다. 다만 성과가 탁월하다는 평가 땐 다시 늘릴 수 있다. 연봉도 마찬가지다.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을 거친다. 공무원으로서의 정신 자세, 전문 지식과 응용 능력, 의사 표현의 정확성과 논리성, 창의력, 의지력, 발전 가능성을 따진다.
무엇보다 세월호 사고와 맞닿아 눈길이 쏠린다. 지난해 4월 16일 숱한 목숨을 앗아 간 참사에 정부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을뿐더러 이따금 사실을 왜곡해 분통을 샀기 때문이다. 이를 계기로 발족해 석 달을 맞은 안전처여서 ‘입 노릇’을 할 대변인 선임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 현재 고명석(49·경무관) 대변인은 세월호 사고 직후 범정부대책본부 때부터 자리를 맡고 있다. 한 공무원은 “세월호와 관련해 다른 부문에서 워낙 죽을 쒀서 (고 대변인의 경우) 잘 해냈다는 소리를 들은 얄궂은 처지”라고 에둘러 말했다.
한편 안전처는 이날 실장급과 국장급 각 3명에 대한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장관급 격상을 빌미로 지난해 10월 현재 중앙소방본부장과 재난대응정책관의 직급을 19일 만에 두 계단이나 올려 준 데 이어 또다시 ‘승진 잔치’를 벌였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2-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