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치안 사각지대 파악… 행자부 올해 50억원 투입
새로 건설된 아파트 단지에 입주한 B씨는 출퇴근 때마다 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아파트에서 한참 떨어진 정류장을 찾아가지만 대개 만원 버스여서 발을 동동 구르기 일쑤였다. 광주시는 대중교통 이용자의 교통카드 사용이력, 유동인구, 거주인구 등 빅데이터를 분석해 대중교통 사각지대를 파악하고 탄력배차제를 시행해 주민들에게 도움을 줬다.
행정자치부는 이처럼 빅데이터를 활용해 성공한 사례를 알리는 보고회를 10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었다. 빅데이터란 기존 수치 통계 중심에서 벗어나 문자와 영상 등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범위의 자료를 말한다.
행자부는 지난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빅데이터 분석 과제 11건을 선정해 35억원을 투입했다. 주요 수행 과제는 도로위험상황예보 시스템(도로교통공단), 의약품 부작용 분석(식품의약품안전처), 산불위험 예보(산림청), 스마트재난상황실 구축(재난안전연구원), 민원 데이터 분석(경북 영천시) 등이다. 이에 따라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사고 정보와 집회·공사 등 돌발정보, 기상청의 기상자료(강우·강설)를 융합·분석한 정보를 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4월부터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심덕섭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빅데이터 분석으로 대중교통이나 치안 등 정책 과제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데이터 기반의 과학 행정을 꾸준히 꾀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과제엔 50억원이 책정됐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2-1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