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 의미
‘난타’, ‘점프’ 등의 뒤를 이을 만한 근사한 넌버벌 퍼포먼스 공연 기획안을 가진 이가 있다 치자. 몇 군데 극단을 전전하며 퇴짜를 맞다가 아예 스스로 극단을 하나 만들었지만 현실의 벽은 높았다. 부족한 자금에 극단 경영 능력도 부족했다. 은행 문턱은 높기만 하고 투자받을 곳도, 조언해 주는 이도 없다. 잘 다듬어 내놓았다면 한류산업에 톡톡히 기여했을 콘텐츠가 꽃도 피워 보지 못한 채 시든 꼴이다.박근혜 대통령이 11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 센터에서 열린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에서 기념 점등판 점등행사를 마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
될성부른 융합형 콘텐츠 생산이 가능한 인재를 육성하고(문화창조아카데미), 그들이 콘텐츠를 발굴해 창업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전문가 멘토링 등으로 도와준 뒤(문화창조융합센터) 창업을 하고 나면 입주와 투자를 보장해 안정적인 운영과 해외진출까지 가능하도록 하겠다는(문화창조벤처단지) 것이 주요 얼개다. 또한 그렇게 생산한 콘텐츠를 해외 관광객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 공간(K컬처 밸리)까지 제공하겠다는 개념이다.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프로젝트인 만큼 이날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M 센터에서 열린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해 의미를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문화콘텐츠 산업은 상상력과 아이디어가 곧 상품이 되는 창조경제의 대표산업이며 관광·의료·교육·제조업 등 다른 산업에 창조적 영감을 불어넣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21세기 연금술’”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5-02-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