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홍보 분야 출신 외부 채용 전망
문체부 관계자는 “현재 국민소통실이 있지만 긴박한 사안이 발생했을 경우 대응 탄력성이 떨어지는 데다, 대국민 소통과 대언론 소통을 함께 맡다 보니 전문성이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면서 “대언론 소통 분야를 주로 맡을 수 있는 차관보의 필요성이 안팎에서 제기돼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차관보는 행정업무 라인이라기보다 장관과 2차관의 스태프로서 대언론 특보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차관보는 문체부 내부 공무원 출신이 아닌 민간에서 언론인, 또는 홍보전문가로 채용할 전망이다. 또한 전문계약직 가급인 홍보협력관 역시 언론 또는 홍보 분야 출신을 대상으로 외부 공모할 예정이다. 이들은 주로 활동하는 공간이 서울이 될 전망인 만큼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극장 분관 등에 사무실을 마련하기 위해 물색하고 있는 중이다.
●野 “독재정권 시절 회귀… 재검토를”
하지만 이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야당이 발끈하고 나섰다. 오영식 최고위원, 김성수 대변인 등은 일제히 “독재정권 시절의 언론 통제를 부활하려는 게 아니라면 홍보협력관제 신설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3-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