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도시공사는 인력 활용의 유연성 확보 등을 위해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1일 밝혔다.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는 정부에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임금피크제 방식이다. 60세인 정년을 보장하는 대신 정년 3∼5년 전부터 임금을 삭감하는 방식이다. 정년임금피크제 해당 연도에는 종전 임금의 85%, 2년차에는 80%, 3년차에는 75%의 임금을 받게 된다.
부산도시공사는 정년 3년 이내의 직원을 대상으로 전문위원 신청을 받아 선정, 산하 도시연구소에 배치해 업무 노하우 전수, 교육, 연구 활동, 각종 현안 업무지원 등을 하도록 할 방침이다.
공사의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는 자체 사례 조사로 안을 만들고 나서 지난 5개월여 동안 사내 설명회, 노사 토론회 등을 거쳐 합의를 이뤄냈다. 공사는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절감되는 인건비를 활용해 신규 채용 등 청년일자리 창출에 힘쓸 예정이다.
성덕주 관리본부장은 “이번 임금피크제는 고참 선배 직원들과 후배 직원들 간의 배려가 함께 만들어 낸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공사는 현재 3본부, 4실, 2단, 10팀으로 운영되던 조직을 3본부, 4실, 8처 1단, 26팀으로 조직을 개편했다. 부채 비율을 200% 이하로 관리하기 위해 마케팅을 강화하고 재무 안정성을 높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신규사업 추진 시 민간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특히 부산진구 등 시내 중심에 있는 철도시설의 외곽 이전에 대비해 철도시설 이전부지 개발사업 등도 장기 미래 성장사업으로 정해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5-06-0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