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의 한 초등학교 교사 A씨가 확진 환자와 접촉한 사실이 있다며 보건소로 찾아와 검사를 의뢰했는데, 그가 외부에 ‘의심환자’로 전파되면서 빚어진 것이다.
충북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메르스 전염을 우려해 격리 대상자로 정한 사람은 크게 확진 환자, 의심환자, 밀접 접촉자로 구분된다.
확진 환자는 말 그대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다.
의심환자는 ‘발열 등 메르스 의심 증상이 나타난 가운데 확진 판정을 받기 전의 환자’를 지칭한다.
밀접 접촉자는 메르스 확진·의심 환자와 접촉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A씨는 지난달 23일 경기도의 한 병원에 노환으로 입원한 아버지를 병문안했다. 이후 10일 뒤인 지난 2일 그의 아버지는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A씨는 열이 나거나 기침·가래 등의 증상이 전혀 없었지만 확진 환자와 접촉한 만큼 감염 여부를 가리기 위해 스스로 보건소를 찾았다.
더욱이 A씨가 병문안을 했을 때 그의 아버지는 의심환자도 아니었던 상황이었다.
결국 A씨는 세 가지 유형의 격리 대상자에 모두 해당하지 않았다.
굳이 따지면 A씨는 ‘검사 의뢰자’ 또는 ‘확진 전 사전 접촉자’ 정도로 부를 수 있다는 게 보건당국의 설명이다.
A씨는 검사를 받자마자 귀가 조치됐다. 검사 결과 메르스를 의심할만한 징후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이날 밤 발표된 검사 결과에서도 음성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외부에 ‘의심환자’로 잘못 알려진 탓에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이날 도교육청에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것이 사실이냐”는 전화가 빗발치면서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었다.
용어의 오용으로 한바탕 소동도 벌어졌다.
휴업을 결정한 한 중학교는 학부모와 학생에게 ‘청주에 메르스 확진 환자 발생’이라는 잘못된 내용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뒤늦게 사실과 다른 것을 확인한 학부모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정정문자를 보냈다.
그런데 재차 보낸 문자메시지 역시 ‘확진 환자 발생’을 ‘의심환자’로 정정한다는 내용이어서 또다시 논란을 샀다.
충북도 관계자는 “최소한 이상 증상을 보여야만 환자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라며 “A씨의 경우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의뢰한 것뿐이니 의심환자라고 불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잘못된 용어 사용으로 도민들에게 불필요한 불안감을 주지 않도록 용어 사용에 신중을 기하도록 각 기관에 통보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