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소상공인공단과 콘텐츠 등 ‘3.0 협약’
국민연금공단은 8일 전북 전주시 만성동 사옥에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지속적인 상호 교류, 콘텐츠 협력을 위한 정부3.0 업무협약을 맺었다.이로써 연금공단은 소상공인 등록현황 정보를 통해 신규 사업장을 파악,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의 국민연금 가입 편의를 도울 수 있다.
●상권 맞춤형 정책 개발 탄력
|
소상공인공단은 연금공단에서 제공받는 빅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연간 10억원을 웃도는 현장조사 비용을 절감하고 상권정보 시스템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 따라서 소상공인의 준비된 창업과 경영 안정을 꾀하는 것은 물론 사회문제로 떠오른 과잉창업을 줄일 수 있는 성과도 기대된다.
빅데이터는 이전엔 버려졌던 정보를 모아 전혀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자료를 말한다. 예컨대 심야 휴대전화 이용자들의 위치정보를 분석한 뒤 발신자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연결해 수요자에게 맞는 심야버스 노선을 설계한 서울시의 사례를 손꼽을 수 있다.
지금까지 예비창업자들이 초기에 주변의 경쟁업체 수, 예상 매출, 창업 예정지역의 과거 업종과 영업기간 및 매출, 상권발달 변화 추이 등 정보를 개별적으로 파악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상공인공단에서 ‘상권정보시스템’(sg.semas.or.kr)을 통한 상권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상가 개·폐업이 아주 잦은 시장 상황에서 서비스의 정확도 유지가 가장 중요한 관건이었다. 상권정보에 중요한 변동 사업장은 국세청 조사 결과 2013년 기준 2.8%인 월 15만여개나 된다.
두 공단은 지난 2월 실시한 ‘아빠랑 장미’ 캠페인과 같은 다양한 소상공인 지원책을 공동으로 기획해 전통시장 활성화 등 사회공헌 활동에 더욱 힘쓰기로 했다.
연금공단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개방·공유·소통·협력’의 정부 3.0 가치를 국민에게 확산하고 보유한 데이터를 사회 곳곳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9-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