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수원시 제2부시장
“유엔이 물 부족 국가로 지정한 우리나라 빗물 재활용률이 26%에 그치고 있어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이재준 경기 수원시 제2부시장은 4일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빗물과 지하수 등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빗물 도시, 즉 레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빗물의 중요성과 물 흐름을 거시적 관점에서 인식해 빗물을 흘려보내지 않고 모아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지하수와도 연계해 물순환 시스템을 관리하는 도시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까지 추진했던 레인시티 사업을 업그레이드한 시즌 2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해 빗물 저장시설을 늘리는 동시에 빗물 주유소 등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재활용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레인가든 조성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도 했다. 올 상반기 수원지역 강우량이 평년 대비 25%에 불과해 최근까지 20년 이상 된 은행나무 가로수 200여 그루가 가뭄피해를 입었기 때문이다.
이 부시장은 “현재 수원시의 도시 사막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인가든 조성 사업으로 가로수 등 도시 사막화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모니터링을 통해 민간분야 조경에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중수도 사업과 관련해 이 부시장은 “물 부족으로 고통받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한 번 사용한 물을 정수해 다시 사용함으로써 귀중한 수자원을 절약하는 중수도 사업을 물 재활용 사업과 병행해 추진하고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5-10-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