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생산량 426만t… 0.4% 늘어
|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은 425만 8000t으로 지난해 424만 1000t보다 0.4% 증가했다. 평년 396만t에 비해서는 7.5%나 늘었다. 벼 재배면적은 79만 9000㏊로 지난해 81만 6000㏊보다 2% 줄었지만, 기상 여건이 좋아 10a당 생산량이 533㎏으로 전년도 생산량보다 2.5% 늘었다. 10a당 생산량 533㎏은 사상 최고치다. ‘3대 곡창지역’ 중 으뜸인 전남에서 전년 대비 5.9%(85만 7224t)나 늘었다.
풍년의 결과는 2015년산 햅쌀 가격의 폭락이다. 통계청은 이달 5일 산지 쌀값은 80㎏들이 가마당 16만 3396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만 7844원보다 8.1% 떨어졌다. 최근 5년간 가격 중 가장 낮다.
풍년이 아니더라도 쌀값이 상승할 전망은 거의 없다. 2015년 1월 1일 발효된 쌀 관세화 이후에 밥쌀용 쌀이 추가로 수입되었고, 쌀 관세화 이전에 약속된 의무 수입물량 40만t이 국내에 들어오는 탓이다. 또 국내 쌀 소비가 1990년대 중반 1인당 100㎏에서 최근 65.1㎏으로 크게 줄었다. 새로운 쌀 소비 방안도 없다. 박동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풍년으로 가격 추락을 막을 수 없지만, 일부 중간 상인들이 유통과정에서 가격 폭락을 유도한다면 정부가 규제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5-10-2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