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부터 내년 2월까지
라돈은 자연방사성 물질로 흡연과 함께 폐암 발병의 주요 원인 물질로 꼽힌다. 과학원은 실내 라돈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2010년부터 2년 주기로 주택 실내 라돈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3~2014년 조사 결과 토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단독주택과 연립·다세대 등에서 검출된 라돈 농도가 아파트에 비해 최대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의 평균 측정치는 56.0㏃(베크렐)/㎥인데 비해 단독주택은 134.1㏃/㎥, 연립·다세대주택은 79.2㏃/㎥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에는 라돈의 권고기준(148.0㏃/㎥)이 있지만 주택에 대한 기준은 마련돼 있지 않다.
겨울철은 여름보다 환기를 자주 하지 않고, 토양과 실내 온도 차이도 상대적으로 커 실내 라돈 농도가 높게 검출된다. 조사는 각 지자체에서 선정한 주택에 라돈 검출기를 설치, 90일간 측정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환경부는 국회 심의 중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이 시행되면 지역별 고농도 지역에 대한 라돈 관리계획을 세워 저감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11-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