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이 잇따르는 수질오염 사고로 가정용 정수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정수기 시장의 블루오션으로 급부상한 중국을 겨냥한 수출에도 탄력이 붙고 있다.
|
5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정수기 관련 기술의 국내 특허출원은 2010년 이전 한 해 평균 300건에 달했으나 2010년 이후 연간 250건 미만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융합형 기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위생과 살균 등 기본 기능 외에 탄산수와 제빙, 음료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 정체된 정수기 시장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탄산수·수소수·육각수 등 기능성 물 관련 출원은 2005년 37건에서 2014년 73건으로, 제빙·음료 기능 등이 접목된 융합형 기술은 2005년 12건에서 2014년 28건으로 2배 이상 늘었다.
탄산수 정수기는 최근 10년간 83건이 출원됐는데 2012년 5건, 2013년 17건, 2014년 29건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탄산수가 다이어트와 피부미용에 효과적이라는 입소문이 돌면서 탄산수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허청 관계자는 “2016년부터 환경상품의 관세가 인하돼 정수기의 중국 시장 진출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외국 제품과 차별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프리미엄 정수기 개발 및 현지 특허권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11-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