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도약의 새로운 핵심거점으로 개발될 광양 세풍산업단지 조성공사가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일반 화학소재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 화학소재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는 장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실시한 사전타당성 분석에 따르면 기능성 화학소재클러스터 조성사업은 앞으로 16년 동안 국가 전체에 3조 7000억여원의 생산 및 1조원의 소득이 유발되고 14만 8000여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예상했다.
전남도는 24일 여수 엠블호텔에서 이낙연 전남도지사를 비롯한 기업인, 금융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풍산단 분양 활성화를 위한 투자 유치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기업인들에게 투자유치를 촉진하고, 금융권 관계자들에게 세풍산업단지 향후 개발 계획 등을 설명함으로써 추가 금융약정(PF)을 빠른 시일 내에 할 수 있도록 홍보하는 자리였다.
이날 광양경제청은 일본기업 후지광업과 홍콩합자 기업인 KS랩 2개 사와 500억원을 투자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또 국내 ㈜바이오소재, ㈜제영산업, ㈜네고팩, 콘프라테크㈜ 등 4개 사와 1335억을 투자하는 합의각서(MOA)를 맺었다. 이들 6개 사는 1935억원을 투자해 640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지사는 축사에서 “노사관계가 안정적인 세풍산단 주변은 연관산업이 잘 발달돼 전후방 산업 효과를 톡톡하게 볼 수 있다”며 “행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세풍산단은 우선 착수하는 59만 5000㎡(약 18만평) 조성 부지에 기능성 화학소재 클러스터 연구·개발(R&D) 센터, 외국인투자지역 지정, 바이오패키징소재기업 등을 유치하는 등 내년 말까지 추가 금융약정(PF)을 통해 산단 전체 개발을 추진 중이다.
광양 세풍산단은 2020년까지 521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3㎢(약 91만평) 규모로 개발된다. 지난 7월 기능성 화학소재 R&D센터 건립 등 602억원의 국비 등 예산 투입이 확정됐다. 세풍산단은 광양경제청, ㈜포스코건설, 미래에셋증권㈜, 대한투자신탁㈜, KB 부동산신탁㈜ 등 5개사가 공동 출자했다.
광양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