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마토프 러시아 태평양국립의과대학 총장 인터뷰
한국의 한의사들과 러시아 의학계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남·북·러 한의학 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한다.슈마토프 발렌틴보리소비치 태평양국립의과대학 총장(오른쪽)이 지난 7일 이 대학 강의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남북의 한의사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함께 러시아 환자를 돌보는 일이 곧 현실화될 것이라고 밝히며 구체적인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대한한의사협회 제공 |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지난 7일 만난 슈마토프 발렌틴보리소비치 태평양국립의대 총장은 “유라시아 메디컬센터가 남북, 러시아의 한의사들이 임상 경험을 나누고 한의학을 발전시키는 장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태평양국립의대는 동양의학 과정이 마련된 러시아의 몇 안 되는 학교다. 대한한의사협회에서 파견한 한의사 성윤수(34)씨가 이 대학 학생들에게 한의학 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슈마토프 총장이 가까운 중국의 중의학이 아닌 한의학에 손을 내민 이유는 문화적으로 중국보다 한국을 더 가깝게 느껴서다. 슈마토프 총장은 “블라디보스토크의 특성상 고려인이 많이 거주해 한국의 문화가 러시아인에게 익숙하고 당연히 의학도 낯설지 않다”고 밝혔다. 중국에 대한 견제 심리도 작용했다.
지리적으로도 가깝다. 인천공항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비행시간은 2시간 30분이 채 안 된다. 북한 영공을 지나칠 수 있다면 1시간 30분 만에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할 수 있다. 접근성이 좋아 한국 의료를 이용하는 러시아 환자는 매년 증가 추세다.
환자 수로는 중국,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지만 전년 대비 증가율을 따지면 중국 다음으로 많다. 한방 진료를 받기 위해 한국에 방문한 러시아 환자 수는 지난해 882명으로, 아직까진 미미한 수준이지만 매년 늘고 있다.
슈마토프 총장은 한국까지 갈 여비가 없는 러시아인들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편하게 한방 진료를 받길 원한다. 한의사들을 받아들여 한국 병원 방문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러시아 의사들의 의술도 발전시키겠다는 구상이다. 블라디보스토크는 한국 등 외국 의사가 러시아 의대에 편입해 1~2년 공부하고 졸업하면 러시아에서 진료할 수 있도록 자국 의사와 동등한 자격을 주고 있다.
슈마토프 총장은 “사업의 또 다른 축인 북한과의 협력은 아직 가시적으로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공문을 많이 주고받고 있고 북측에서도 태평양국립의대에 평양을 한번 방문하라는 초청장을 보냈다”며 “진행 상황을 보면 북한도 분명히 함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의학은 정치나 정권에 관계없이 오직 국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쓰여야 한다”면서 “결국엔 이 사업이 남북의 통일에도 이바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블라디보스토크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12-1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