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8일 정부대전청사 대회의실에서는 산림 병해충 방제 유공자 포상식에 이어 재선충병 피해가 발생한 84개 시·군·구와 17개 시·도 산림과장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도 방제 방향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산림청은 지자체별 재선충병 재발생률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그런데 재발생률이 높은 곳에선 곤혹스럽지 않겠느냐는 내부 우려에도 불구하고 현장 상황은 딴판이었다. “전담지도관을 배치해달라”, “피해지 주변 방제를 위한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는 등 반성은커녕 지원 요청이 쏟아졌다. 이런 터에 A시가 기름을 부었다. 재선충병 정밀조사 결과 7배 이상 피해가 큰 지역으로 밝혀지자 김 차장이 ‘발끈’한 것이다. 김 차장은 “지금까지 부실방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대책은 없고 예산 탓만 한다”고 질책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일부 지자체가 재선충병의 위험성이나 방제의 중요성을 간과한 채 단순 산림사업으로 접근하는 자세에 경각심을 준 것”이라고 풀이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12-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