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케아 등 대형유통사 들어선 광명시, 골목상권 어떻게 활성화됐나
가구 공룡 이케아와 롯데프리미엄아울렛이 고속철도(KTX) 광명역세권에 입점한 지 1년이 지났다. 코스트코는 개장 3주년이다. 대형유통기업과 이케아의 입점으로 지역상권이 다 죽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광명 지역경제는 지역일자리 극대화와 골목상권 활성화로 크게 발전했다. 국내외 대형 유통매장들을 유치한 광명시의 예상대로 된 것이다. 양기대 시장이 대형 유통기업과 중소상인을 적극적으로 중재하고 중소상인들을 과감하게 지원한 덕분이다. 비슷한 처지의 전남 광양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가 벤치마킹을 할 만큼 ‘상생의 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2014년 12월 이케아가 광명에서 문을 연다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우리 골목상권은 ‘다 죽었다’ 생각했죠. 그러나 매장을 리모델링하고, 직원들 친절 교육도 하고, 생전 처음 전단과 SNS 홍보를 하는 등 미리 대비했더니 매출이 20%가량 늘었습니다.”
이상봉 광명시가구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의 말이다. 그는 2~3일에 한 번 이케아 광명점을 간다. 긴장감을 유지하고 ‘뭔가 배울 것이 없나?’ 살펴보기 위해서다. 여전히 이케아는 주차할 곳이 없을 만큼 손님들로 북적이지만 광명 가구점 사장들도 어느 정도 자신감이 생겼다. 이케아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디자인이 뛰어나지만 젊은층이 찾는 ‘중저가’에 해당된다. 광명가구거리에서 영업을 하는 33명의 조합원은 중고가 제품 판매에 주력한다. 또 이케아에 없는 무료 배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 도움을 받아 이케아 앞에 ‘광명가구단지 가는 길’ 등의 안내 입간판을 많이 세운 것도 한몫을 했다. 덕분에 이케아 개장 후 매출이 감소한 곳은 7~8곳에 불과하다. 앞으로 매출이 저조한 상인들에게 인테리어와 홍보 기법 등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다.
광명가구거리가 기죽지 않고 자생력을 키울 수 있었던 배경에는 업계의 노력뿐 아니라, 광명시의 노력도 숨어 있었다. 2010년 취임한 양 시장은 교통 요충지인 KTX 광명역세권에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하지 않고서는 ‘서울의 변두리 도시’를 탈피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 반발하는 중소상인들을 설득하면서 국내외 대형 유통매장을 유치했다. 대형 유통기업과 중소상인 간 적극적인 중재와 약자들에 대한 과감한 지원으로 ‘상생의 모델’을 만들어 내고자 애썼다.
그 결과 100% 자사 제품만 판매해 온 이케아가 매장 가운데 350평을 광명가구 유통사업협동조합에 5년간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가구거리 등 구도심 상권 활성화에 24억원을 보태기로 했고, 종사자 850명 가운데 397명을 광명에서 채용했다.
# 재래시장인 광명시장 상인들도 2012년 12월 외국계 창고형 유통 할인점인 코스트코가 들어서자 불안감이 컸다. 광명시장 상점가 진흥사업협동조합 소속 상인들은 코스트코 입점을 반대하며 광명시에 이른바 ‘악’을 썼다. 입점을 막을 수 없자 방향을 바꿔서 양 시장에게 “시장이 슬럼화되기 전에 선제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광명시장은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지정됐다.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사업은 중소기업청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추진하는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중 하나다. 전통시장을 지역의 역사·문화·특산품 등과 연계하거나 시장의 고유한 특성을 발굴·개발해 국내외 관광객들이 장보기와 함께 관광을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2013년 9월부터 지난해 12월 말까지 시장에 대한 모든 정보를 휴대전화로 검색할 수 있도록 웹 서비스 기반을 구축하고 고객 쉼터도 만드는 등 자생력 있는 전통시장으로 거듭나고자 애를 썼다. 그 결과 시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난 것을 실감할 수 있다. 안경애 조합 이사장은 “이마트 등이 쉬는 두 번째, 네 번째 주 일요일에는 어깨가 부딪힐 만큼 인파로 붐비고 405개 점포 중 단 한 곳도 빈 곳이 없다”고 말했다.
코스트코 역시 이케아처럼 상생 협력의 길을 선택했다. 조원구 코스트코 광명점장은 “광명점 입점 과정에서 우리가 외국계 기업이라는 이유로 광명시민을 비롯해 지역 소상공인들이 좀처럼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주지 않아 걱정이 많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광명시의 적극적인 중재로 전국 최초로 폐점 시간을 밤 10시에서 9시로 한 시간 앞당기는 상생 협약을 실천하게 됐다. 광명에서 생산하는 6개 농산물은 재래시장 판매를 권장하기 위해 코스트코에서 판매를 제한하고, 597명의 종사자 가운데 195명을 광명시민으로 채우는 등 지역경제를 배려했다.
2014년 12월 문을 연 롯데프리미엄아울렛도 직원 1324명 중 464명을 광명시에서 채용하고 광명시 패션유통사업조합원 16명을 입점시켰다. 광명패션문화의 거리 활성화를 위해 주차장 건립 비용으로 60억원을 쾌척하고 패션유통사업조합에 발전기금 6억원도 지원했다.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이 광명에 들어서면서 KTX 광명역세권은 광명시의 선제적인 대책 마련과 중소상인들의 열린 대응으로 골목상권이 활성화되고 지역 일자리도 크게 확대됐다. 진정한 의미의 ‘창조경제’라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