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지난달 24일 본관 시민홀에서 김기현 시장과 관련 전문가, 시 산하 기관장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착수 보고회’를 가졌다.
새로 수립될 계획은 광역시 승격 20주년인 오는 2017년부터 2036년까지 20년간의 도시 성장 밑그림으로, 울산발전연구원이 주도해 올해 12월 완료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울산의 도시 여건 변화와 국내외 주요 패러다임 변화를 고려한 울산의 미래비전과 도시의 내적 성장 및 외연 확대 등에 대한 추진전략을 담게 되며, 이렇게 확정된 발전계획은 향후 울산 발전계획의 지침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이와 연계한 울산발전 모델로 에너지산업 육성을 통한 ‘파워시티’ 구현, 신도시 개발을 통한 ‘콤팩트시티’ 조성, 시민 삶의 질 제고와 맞춤형 복지를 지향하는 ‘휴먼시티’ 조성, 동해안 중심도시로의 발전과 인근 도시간의 기능연계를 통한 ‘메가시티’ 조성 등을 제안했다.
이번 중장기 발전계획은 울산의 미래전략으로서의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전문가 중심의 계획에서 시민참여단 운영을 핵심으로 하는 시민참여 프로그램과 울산시-연구원 TF팀 운영 등 협업형 연구로 추진된다.
김기현 시장은 외부 민간 전문가들(15명)과 시청 및 구군 간부들이 참석한 토론회를 직접 주재하며 울산 중장기 발전계획의 정체성 점검 및 지향성에 대한 밀도있는 토의를 벌였다.
외부 전문가로는 박병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센터장, 이상민 한국교통연구원 부원장, 여흥구 한국개발연구원 부실장,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철순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이 참여한다.
또 조기혁 UNIST 교수, 권승혁 한국은행 팀장 등 지역 내 분야별 전문가 10명이 함께 자리해 울산의 미래를 전망하고, 변화의 흐름에 대응해 울산시가 고민해야 할 점들을 조언했다.
정호동 정책기획관은 “2036 울산 중장기 발전계획은 과거의 전문가 중심 계획보다는 시민 눈높이의 참여형 계획이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시민,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시민토론회도 가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울산시 누리집을 통해 인터넷으로 생중계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