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책은 3대 추진전략 9개 역점 추진과제로 구성된다.
먼저, 악취 배출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선제적인 악취 배출업소 관리를 통한 악취 저감 추진 실시간 악취 모니터링 및 무인 감시시스템 활용 극대화 악취 배출사업장 맞춤형 기술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또, 기업체의 자율적 악취저감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발적 환경관리 협약 사업장 관리 휘발성 유기화합물 300t 저감 및 악취유발 사업장 정기보수 일정을 하절기에서 저온기로 분산 시행 자율적 악취저감 분위기 조성 사업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지난해 악취배출업소 지도점검 247개사, 악취 시료채취 및 오염도 조사 179건을 실시하여 13개사의 위반사항을 적발, 개선명령 12건, 경고 1건 등의 행정조치를 취했다.
또,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악취 다량 배출업소 84개사에 대해 정밀기술진단을 실시하여 총 1015건, 3633억 원의 시설개선 투자를 이끌어 냈다.
울산시 환경보전과 관계자는 “울산지역은 대규모 정유·석유화학·비료·자동차·조선 등 다양한 악취 배출 사업장이 국가산업단지 내에 밀집되어 있어 계절적 영향에 따라 악취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면서 “국가산업단지 악취관리 대책을 내실 있게 추진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시는 2005년 3월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온산국가산업단지 등에 대해 전국 최초로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 고시, 다른 지역보다 2배 이상 강화된 엄격한 배출 허용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인터넷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