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 10년 통계
육류 하루 섭취량 113g… 26% 증가곡물 섭취량은 314→293g 더 감소
복지부 ‘9大 국민 식생활 지침’ 발표
나트륨 3년간 덜 먹어 6조 경제 효과
|
보건복지부의 ‘2014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하루 곡물 섭취량은 2005년 314g에서 2014년 293g으로 6.7%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하루 육류 섭취량은 90g에서 113g으로 25.6% 증가했다. 칼슘 섭취량은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일일 칼슘 섭취 권장량은 650~1000㎎이지만 2014년 우리 국민의 칼슘 섭취는 하루 권장량의 68.7%에 그쳤다. 게다가 12~18세 성장기 청소년, 골다공증 위험이 큰 65세 이상 노인의 칼슘 섭취량이 특히 적었다. 12~18세 청소년 가운데 칼슘을 권장량 이상 섭취하는 사람은 남녀 평균 18.5%에 불과하다. 65세 이상 노인도 20.5%만 칼슘을 필요량 이상 섭취하고 있다.
채소·과일도 지나치게 적게 먹는다. 채소·과일을 하루 500g 이상 먹는 사람은 38.3%뿐이다. 10대와 20대는 10명 중 2명 정도만 채소·과일을 500g 이상 챙겨 먹고 있다.
아침식사 결식률은 2005년 19.9%에서 2014년 24.0%로 증가했다. 정부는 지침에서 아침밥을 꼭 먹고, 술자리는 피하고, 가족과 식사하는 횟수를 늘릴 것을 권고했다.
한편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날 식품의약품안전처 주최로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나트륨 줄이기 정책으로 우리 국민 전체의 1인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2010년 4831.1㎎에서 2013년 4027.5㎎으로 줄었으며,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효과가 3년간 6조원에 육박한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4-0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