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박마루 의원 “2차 질환 취약한 장애인 검진 중요”
서울시 공공의료병원인 서울의료원에 ‘장애인 건강검진센터’가 문을 연다.‘장애인 건강검진센터’는 장애인의 건강검진 이용 불편을 해소하고, 질 높은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기존 건강증진센터의 시설을 개선하여 오는 4월 21일부터 시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으로, 서울시의회 박마루 의원(새누리당, 비례대표·사진)이 장애인 건강권의 중요성을 의회에서 지속적으로 지적하여 확보한 예산을 바탕으로 조성됐다.
|
2016년 보건복지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건강검진 수검률은 72.9%인데 반해 이동에 제약이 큰 중증장애인의 수검률은 50.1%로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증장애인의 수검률인 69.6%보다 약 20%나 낮은 수치이다.
장애인 건강검진센터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장애인의 이용 및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 시설은 물론 검사장비와 서비스까지 개선했다. 개선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건강증진센터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장애인 전용 화장실 및 탈의실 신설
- 휠체어 환자의 이동 편의를 위해 건강증진센터 내부의 모든 출입문을 확장하고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미닫이문)로 변경
- 휠체어 환자 전용 휴식 공간 마련
- 중증장애인 엑스레이(X-ray) 촬영 전용 특수휠체어 구비
- 검진센터의 모든 공간에 휠체어와 같은 높이의 침대와 수납공간 설치
- 간호사가 1:1로 밀착하여 검진 안내, 탈의 보조, 소변검사, 이동 등을 돕는 안내 시스템 도입
- 필요시 재활의학센터 전문의와 사전 상담을 통해 내시경 가능 여부 결정과 검진 시 주의사항 및 안전문제 확인
- 개인별 증상에 따른 추가 검사 필요시 다른 진료과와의 협진 시스템 도입
이와 함께 박 의원은“서울시가 공공의료 서비스 모든 영역에 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전국적으로 장애인을 위한 의료환경이 확산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박 의원은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한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의 시행일을 1년여 앞둔 지금 장애인의 건강권 확보를 위해 서울시에서 선행적으로 관련 내용을 포함한 조례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현재 이와 관련된 조례안 제정을 준비 중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