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7개 병원 관리팀 운영…응급실 퇴원 후 지속 관리 ‘효과’
조모(80)씨는 아내를 먼저 보내고선 실의에 빠져 자녀가 잠든 사이 자살을 시도했다.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겨우 의식을 회복했지만 아내와 사별한 슬픔과 외로움에 마음의 상처가 깊었다.
|
송씨는 3일 “얼마 전 할아버지가 평안한 상태에서 지병으로 눈을 감으셨다는 소식을 할아버지의 아들에게서 들었다. 많은 이가 이런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며 아들이 사례 공개를 허락했다”고 말했다.
응급실에서부터 환자의 곁을 지키며 말을 건네야 사례관리사를 신뢰하기 때문에 사례관리사는 대개 응급실에 상주한다. 현재 서울아산병원과 가천대길병원 등 전국 27개 병원에서 60여명이 활동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자살시도자 사례관리팀을 운영할 병원을 선정해 2013년 7월부터 이런 방식의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시작했다. 한 해 예산이 20억원뿐이어서 참여 병원 수는 적지만, 4년째 접어들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2013년 8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27개 병원 응급실을 찾은 자살시도자는 1만 3643명이다. 745명은 퇴원 후 다시 자살을 시도해 결국 숨을 거뒀다.
이 가운데 517명(69.4%)은 사례관리사의 상담서비스를 받지 않은 사람이었고, 나머지 228명은 상담을 받은 사람이었다. 상담을 받은 사람과 받지 않은 사람의 사망률 차이는 2배를 웃돈다. 상담 서비스는 서비스에 동의한 6159명에게 제공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자살 실태조사를 보면 자살시도자의 자살 위험은 일반인보다 25배나 높다”며 “응급실을 찾은 자살시도자는 고위험군이기 때문에 마음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내년도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참여 병원 수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5-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