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처가 ‘합창’ 방식 유지한 근거
보수단체 ‘임’ ‘새날’ 가사 北과 연결… 野·시민단체 “종북 논란은 어불성설”보훈처 “기념일·노래명 다르면 합창 관례”… 일각 “유가족 배려 부족한 소극 대응”
16일 국가보훈처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의 합창 방식을 고수한 근거로 이 노래가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한다는 논란이 남아 있고 모두가 부르도록 강요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제시했다. 5·18이 광주 시민만의 행사가 아니라 전 국민을 대표하는 정부의 기념행사이기 때문에 국민적 갈등 소지를 차단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뜻이다.
5·18 기념식이 1997년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이명박 정부 임기 첫해인 2008년까지 모든 참석자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방식이 유지됐다. 하지만 2008년 기념식 직후 보수적인 보훈·안보단체에서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노래”라며 문제를 제기해 2009년부터 합창단이 부르는 합창으로 대체됐다. 광복회, 6·25 참전자회, 재향군인회 등 12개 단체들은 현재까지도 제창에 반대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북한이 1991년 5·18을 소재로 제작한 영화 ‘님을 위한 교향시’의 배경음악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사용했고 노래 제목과 가사 내용에 나오는 ‘임’과 ‘새날’이 각각 김일성과 사회주의 혁명을 의미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세계에 5·18 알린 푸른눈 ‘5·18’ 민주화운동을 전 세계에 알린 독일 언론인 위르겐 힌츠페터의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 여사가 16일 광주 북구 망월동 5·18 구묘역에서 고인의 추모비를 쓰다듬고 있다. 연합뉴스 |
합창단이 부르는 합창(合唱)과 참석자 모두가 노래하는 제창(齊唱)은 미묘한 차이가 있다. 합창단이 부를 때 참석자들이 따라 부르지 않는다 해도 어색할 것은 없다. 반면 제창을 하게 되면 따라부르지 않는 게 이상하게 된다. 2004년 5·18 기념식 때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이 노래를 처음부터 끝까지 유족들과 제창한 모습이 전국에 생중계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결정은 가장 큰 희생자인 유가족들의 입장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소극적 대응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보훈처 관계자는 이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고 정치권에서 제시하면 적극 지원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05-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