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의 대기질 개선효과 첫 분석
年723t 나뭇잎 등 통해 흡수산림 1㏊서 오염물 年168㎏ 없애
|
16일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산림 1㏊(40년생 1300그루)에서 1년간 흡수하는 오염물질은 168㎏으로 분석됐다. 이산화질소(NO2)가 52㎏으로 가장 많고 미세먼지(PM10·PM2.5 포함)와 오존(O3)이 각각 46㎏, 이산화황(SO2) 24㎏이다. 미세먼지는 식물의 잎 등 표면에 붙어 있다가 기공을 통해 나무 속으로 흡수되거나 비가 오면 땅으로 흘려보내진다.
40년생 나무 한 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미세먼지의 양은 35.7g에 달했다. 이는 방울토마토 2알, 100원짜리 동전 7개의 무게다. 30평형 아파트에서 ‘나쁨’(81~150㎍/㎥) 단계의 미세먼지 농도를 ‘좋음’(30㎍/㎥ 이하) 수준으로 낮추려면 공기청정기를 2시간 정도 가동해야 하는데 이때 흡수되는 미세먼지가 0.018g이다.
1년에 1만 6000㎞를 주행하는 경유차가 배출하는 미세먼지(1680g)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40년생 나무 47그루가 필요하다.
이용석 산림청 도시숲경관과장은 “산림이 미세먼지 발생을 막을 수는 없지만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효과는 크다”면서 “도심권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도시 숲을 적극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생활권 주변의 숲이 미세먼지 저감이나 기후 조절 같은 환경 기능 개선에도 직접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2013년 기준으로 도시림 면적은 서울(21.1%)이 경기 지역(42.9%)의 절반 정도 수준에 그쳤다.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은 경기(5.3㎡)가 서울(4.3㎡)보다 높았다. 하지만 경기 지역도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9.0㎡)에는 크게 미달했다.
현재 서울의 산림 면적은 1만 5719㏊ 규모로, 외부 유입을 제외하고 서울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축구장 2만 7000개 크기인 2만 1824㏊의 산림이 추가 조성돼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해외에는 일렬로 조성된 자작나무 가로수 주변 주택이 가로수가 없는 주택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50% 낮고 도로변 건물 외벽과 옥상에 녹지대를 조성하면 미세먼지를 6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구남인 박사는 “도심 주변에 대규모로 숲을 가꾸기는 어렵겠지만 교통량이 많은 지역 등 적재적소에 숲을 조성하면 공기질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6-1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