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립 종로청소년수련관은 부지면적 5,177㎡에 연면적 4,840㎡, 지상 3층, 지하 2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 서울시 최초의 어학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청소년 수련관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대한민국 역사‧문화의 산실인 종로의 특성을 살려 역사 역사 분야에 특화하여 지역의 역사‧문화 자원을 소개하고 관련 체험을 강조하는 ‘역사와 어울림’이라는 테마를 가진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
먼저 국내 어학연수 프로그램은 남산 유스호스텔과 국내 주요 영어마을 등과 연계하여 진행된다. 해외 어학연수 프로그램은 해외문화 및 현지 생활체험과 인턴쉽 연계 프로그램 등이 계획 중이다.
특히 해외 어학연수는 미국, 호주, 캐나다, 영국 등 현지 대학에서 직접 공부하고, 현지인과 같은 생활을 체험할 수 있으면서도 종로 교육지원센터라는 신뢰성을 담보한 공공기관에서 관리‧운영한다는 점에서 수요자들의 호응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의 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한다는 취지를 바탕으로 저소득층 등에는 비용의 전액을 무료로, 이후 소득 계층별 지원금액에 차이를 둘 예정이다.
남의원에 따르면 시립 종로청소년수련관에는 종로 교육지원센터 외에 IOT 체험교실과 공연장, 동아리실, 토론실, 자원봉사실, 체력단련실, 정보자료실, 휴게실 등이 설치된다. 이에 남재경 서울시의원은 수련관 내 수영장 설치를 추가로 요청했다.
수영장을 만들어 청소년들의 신체활동 범위를 넓히고, 나아가 마땅한 수영장이 없어 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주민들의 편의도 증진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담당부서는 본격적인 디자인 공모와 실시설계에 남의원의 요구를 반영하겠다고 약속, 시립 종로청소년수련관 내 수영장 설치 여부가 주목된다.
이와 더불어 남의원은 수련관 건립부지 인근의 문화‧복지 공간 부족문제를 강조하며, 다양한 문화프로그램과 수준 높은 즐길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지역 구성원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남의원은 시립 종로청소년수련관이 청소년들의 또래간 소통의 장이자 단절되기 쉬운 세대간 교류를 통한 사회적 갈등해소의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청소년 진흥법에 각 자치구는 청소년 수련관을 1개소 이상 설치․운영하도록 명시하고 있음에도 그간 종로구는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청소년수련관이 없는 자치구로 남아 있다.
한편 시립 종로청소년수련관은 건립 부지를 두고 홍지동 76-1번지 일대와 신영동 저류조 부지 등 2곳을 검토해 왔으나 2015년 홍지동 76-1번지 일대로 최종 결정되었다. 총 예산 약 209억 규모로 2017년 상반기 중 토지매입을 완료하고, 2020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