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524곳 조사 결과
화학물질 5만 4261t 배출1년 새 6.9%, 3494t 늘어
용매제 자일렌 32%로 최다
2014년 한 해 동안 전국 사업장에서 배출된 화학물질이 전년 대비 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정·세척제에 사용하는 트리클로로에틸렌과 벤젠 등 1급 발암물질 배출량은 12.9%나 증가했다.
6일 화학물질안전원에 따르면 사업장 3524곳을 대상으로 2014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11종, 5만 4261t이 대기 등 주변 환경으로 배출됐다. 2013년(5만 767t) 대비 6.9%(3494t) 증가한 수치다.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는 자일렌 등 415종의 화학물질 가운데 1종 이상을 연간 1∼10t 이상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이들 사업장이 2014년 총 사용한 화학물질은 226종, 1억 6361만 8000t으로 배출률은 0.03%다. 배출량이 증가한 것은 사업장이 전년 대비 89곳 추가됐고 기존 사업장의 취급량도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배출량은 관리가 명확한 굴뚝 등 점오염원과 달리 사업장이 자율 관리하는 비산오염원이 61.0%(3만 3107t)를 차지했다. 비산오염원은 사업장 내에서 제조·사용·운반·보관 시설의 틈새 등으로 배출되거나 부주의한 취급사고 등으로 발생하는 화학물질이다.
비산오염원 중 선박 등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과 석유정제·화학 등 주요 업종의 배출량이 2만 1353t에 달했다. 대형 선박 등은 코팅·열처리 등 도장이 야외에서 이뤄지는데 당시 조선업 수주가 늘면서 배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벤젠 등 1급 발암물질(12종) 배출량은 2.1%인 1064t으로 전년(942t) 대비 12.9% 늘었다. 세척제 등에 사용하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이 713.5t으로 가장 많았고, 원유 정제과정에서 발생하는 벤젠이 153t으로 두 번째였다.
화학물질안전원 관계자는 “배출량 조사·공개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및 대책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7-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