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18일 부천 원미구 부흥로 ‘도깨비 지역아동센터’를 시작으로 ‘맑음 숨터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맑음 숨터 프로젝트는 어린이집과 장애인시설, 노인요양시설 등 상대적으로 공기 질에 민감한 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취약시설의 실내 공기 질을 측정하고, 시설을 개선해 주는 사업이다.
도가 취약시설 공기 질을 무료로 측정하면 봉사단체 ‘사랑의 집수리(대표 박은경)’ 회원들이 나서 장판과 벽지 등을 친환경 제품으로 교체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랑의 집수리 박 대표는 “경기도와 손잡고 추진하는 맑은 숨터 프로젝트는 취약계층에 대한 환경복지라는 점에서 의미 있고 가치가 있다. 특히 20여개 기업체에서 자발적으로 후원하고 나서 큰 힘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각 물품 중 친환경 벽지는 ㈜다아이디·㈜에덴바이오벽지, 무공해풀 및 참초배지는 ㈜주항테크, 페인트는 삼화페인트·노루페인트·ei온새미로가, 바닥재는 ㈜KCC 여주공장이 지원한다. 다온에스앤케이, 진덕환경, 대현환경 등 기업들은 실내 공기 정화 서비스 또는 실내 공기 질 측정 서비스 등을 무료로 해 준다. 인력은 ‘사랑의 집수리’가 재능기부를 통해 지원한다.
이날 리모델링 작업에 들어간 부천 도깨비 지역아동센터는 공기 질 측정 결과 미세먼지가 기준치의 1.6배,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은 무려 45배 초과 검출돼 이 사업의 첫 번째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TVOC는 눈 따가움, 목 통증, 구토, 두통, 피부 가려움증 등 증상을 수반하는 물질이다.
김상철 도 생활환경팀장은 “이곳에는 벽면과 천장 전체, 가구 및 집기에 친환경 단열 페인트가 시공되고 장판은 친환경 소재, 조명은 LED로 교체돼 쾌적한 환경에서 아이들이 공부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도와 사랑의 집수리 봉사단체는 우선 올해 10곳을 대상으로 이 사업을 할 계획이다. 김하나 경기도 기후대기과장은 “실내 공기 질은 삶의 질과 연결되는 중요한 환경복지 중 하나”라며 “민간 기업 및 단체와 손잡고 앞으로 이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2009년 전국 처음으로 취약계층 실내공기질 개선 사업을 도입, 취약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 무료 측정, 공기질 개선 요령 등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3599곳을 무료 측정했으며 올해는 대상을 4580곳으로 확대해 추진 중이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