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수는 개도국의 환경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환경보건 분야 지식과 정책노하우를 전달하고자 마련됐다.
참가 공무원은 대기오염과 수질, 토양·지하수, 폐기물, 에너지, 기후변화 등 6개 환경보건 분야 정책에 대한 교육을 받고 국가별 실행계획을 살펴볼 계획이다.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건강연구부는 2014년 1월 동북아에서는 처음으로 세계보건기구(WHO) 취약계층 환경보건 협력센터로 지정된 바 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9-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