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민 서비스 향상 위해 투트랙 인사 준비”
조직 내 인사를 총괄하는 최고인사책임자(CHRO)라는 직책은 국내에서 좀 생소하다.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 등 민간 기업은 일찍부터 사회가 복잡·다변해질수록 인사가 조직의 핵심 역량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해 왔다. 조직이 비대해질수록 최고경영자(CEO)가 볼 수 없는 위험요소가 많아지기 때문에 각 직무에 최적의 인재를 앉히는 인사가 중요하단 얘기다. 국가공무원 인사를 총괄하는 인사혁신처는 다음달 18일로 출범 2주년을 맞는다. 24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만난 이정민(47·행정고시 39회) 인사혁신기획과장은 “인사는 조직 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첫 번째 전략”이라며 “사람을 대거 뽑아 조직 전반을 두루 거치게 하는 채용 방식으로는 대국민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15년 전 중앙공무원교육원(현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 강의를 하러 온 한 초선 국회의원의 말이 잊혀지질 않습니다. 행시(현 국가직 5급 공채)를 패스할 정도로 똑똑했던 사람도 공직사회에서 10년을 보내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되더라는 얘기였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 시대에 ‘사람’은 더 중요해졌습니다. 고도화된 기술을 이용하는 사람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기술은 조직에 위험요소가 될 것입니다. 세월호 참사를 겪은 뒤 출범한 인사처의 소임은 인사혁신이었습니다. 그 일환으로 투트랙 인사관리를 오랫동안 준비해 왔습니다. 조직 내 전 부서를 두루 거치는 제너럴리스트와 평생 한 우물만 파는 스페셜리스트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그동안에는 헌법, 한국사, 영어, 공직적격성평가(PSAT) 등 일관된 시험을 실시해 성적순으로 사람을 뽑았습니다. 그렇게 뽑힌 공무원은 조직의 모든 업무를 두루 거치지만 어느 것 하나를 특출나게 잘하긴 어려웠습니다.
현재 국가공무원 국·과장 평균 재직 기간은 1년 2~3개월에 그칩니다. 5년 이상 걸리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4명의 담당자가 진행하는 실정입니다. 국익에 반할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 직위를 기반으로 사람을 뽑는 미국은 20년 동안 한 우물만 파는 공무원이 많지만, 조직 전체를 보는 힘이 약해 실패를 가져온 사례도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고위공무원단에는 순환보직을 도입하는 절충형 대안을 찾았습니다.
세종시 이전 후 공직사회가 정체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서울, 세종 간 출장이 잦다 보니 일명 ‘길과장’(길에서 사라진 과장), ‘무두절’(출장 간 상사 덕분에 휴일)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옵니다. 인사혁신 정책을 총괄하는 부서장으로서 뼈아픕니다. 총리실 산하의 ‘세종시이전추진단’에서 업무 효율화와 관련, 대책을 고심 중입니다. 지침도 필요하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신독’(愼獨·혼자 있을 때도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삼감)이라는 가치를 되살려야 한다고 봅니다. 누군가의 감시나 규제에 얽매여 형식적으로 일하는 게 아니라 스스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자율에 맡기되 책임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10-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