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0.8%↓ 6억 9060만t… 화력발전·폐기물소각 감소 영향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16년 만에 처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국무조정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센터 대회의실에서 제2차 ‘국가 온실가스 통계 관리위원회’를 열고 2014년도 국가 온실가스 통계를 확정했다.
2014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3년보다 590만t(0.8%) 감소한 6억 9060만t으로 나타났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한 것은 1998년 외환위기 때 이후 처음이다. 센터 측은 2012년 고장 등 이유로 감소했던 원자력발전소 발전량이 증가하면서 화력발전량이 전년 대비 6.9%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가축 사육두수 및 폐기물 소각량 감소, 정부 온실가스 감축 정책 시행에 따른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2014년 에너지 분야 공공 전기·열 생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화력발전량 감소로 2013년에 비해 1400만t 정도 줄었다.
2014년 GDP당 배출량도 484t으로 1990년(669t)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3년에 비해서는 4.1% 감소한 수치다.
분야별로 보면 농업 분야 온실가스는 전년 대비 60만t, 폐기물 분야는 50만t 정도 적게 배출됐다. 반대로 산업공정 분야는 철강 제품 생산이 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260만t 증가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11-2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